[ORACLE] 삽입 (INSERT) - 1
반응형
삽입 (INSERT) : 발생한 데이터를 특정 테이블에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SQL
삽입의 구성 요소
삽입 문장 1
INSERT INTO 테이블명 (컬럼명1, 컬럼명2, 컬럼명3 ...)
VALUES (값1, 값2, 값3, ...);
INSERT INTO .. :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명 및 컬럼명 지정
VALUES ... :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
삽입 문장 2
INSERT INTO 테이블명 (컬럼명1, 컬럼명2, 컬럼명3 ...)
SELECT 컬럼명1, 컬럼명2, 컬럼명3...
FROM 테이블명
WHERE 조건절
기타;
INSERT INTO .. :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명 및 컬럼명 지정
SELECT ~ : 조회문 제공
* 데이터 삽입의 종류에 따른 차이
VALUES 이용 : 데이터에 대해 건 별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주로 사용
SELECT 이용 : 한번에 많은 데이터를 다른 테이블로 삽입할 경우 주로 사용
* INSERT 와 DELETE 는 인덱스의 개수에 의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.
데이터를 저장할 때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데이터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인덱스에 저장해야 한다.
데이터는 비어있는 블록에 저장하면 되지만, 인덱스는 정해진 위치가 있기 때문에 성능 저하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.
즉 인덱스의 개수가 많다면 많은 성능 저하가 일어나게 될 것이다.
반응형
'⇥ DevOps Tech 🙋🏻♀️ > ✏️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RACLE] 갱신 (UPDATE) (0) | 2020.08.29 |
---|---|
[ORACLE] 삽입 - 2 / DIRECT LOADING ,MULTI INSERT (0) | 2020.08.27 |
[ORACLE] 행 제한 (0) | 2020.08.25 |
[ORACLE] 조회 (Query) (0) | 2020.08.24 |
[ORACLE] SQL 종류 (DML, DDL, DCL, QUERY) (0) | 2020.08.23 |
댓글
이 글 공유하기
다른 글
-
[ORACLE] 갱신 (UPDATE)
[ORACLE] 갱신 (UPDATE)
2020.08.29 -
[ORACLE] 삽입 - 2 / DIRECT LOADING ,MULTI INSERT
[ORACLE] 삽입 - 2 / DIRECT LOADING ,MULTI INSERT
2020.08.27 -
[ORACLE] 행 제한
[ORACLE] 행 제한
2020.08.25 -
[ORACLE] 조회 (Query)
[ORACLE] 조회 (Query)
2020.08.24